업계보다 훨씬느린(?)

국회에서 까지 얘기가 나온다는 것은,

 

앞으로 유망직종인 것은 분명한가 봄.

from 제 생각 

 

 

-------기사일부-------------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5월부터 ‘데이터부’ 혹은 ‘데이터청’을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도 지난 6월 16일 “데이터는 ‘디지털 원유’지만 꿰어야 보배”라며 데이터청과 데이터거래소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도 “국력은 데이터 활용에 비례한다”며 데이터청 설립을 언급했다.

데이터청이란 어떤 조직인가. 취재를 종합해보면 ‘공공과 민간 데이터 정책을 총괄하는 부처’ 정도로 볼 수 있다. 통합당 정책연구소인 여의도연구원 관계자는 “공공분야 데이터는 해당 분야에만 한정된 게 한계”라며 “국가 차원의 데이터 전략 및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공공·민간 데이터를 포괄해 접근·관리하는 기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광재 의원도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민이 어떤 상태에 살고 있는지를 명확히 알아야 하는데 지금은 부동산 정보 하나만 보더라도 행정안전부·국세청·국토부 등 정보가 다 따로 있다. 부처별로 따로 놀고 있다”며 “전체적으로 통합해서 (중략) 데이터청을 만들어서 정확한 실태부터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즉 빅데이터를 구축해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실제 빅데이터는 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 가령 국세청은 납세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과세를 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이전보다 수월하게 복지서비스의 사각지대를 파악할 수 있고, 부당한 복지서비스를 받고 있는 부당수혜자도 찾아낼 수 있다. 다양한 정보를 종합해 맞춤화된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빅데이터는 예측하기 힘들거나 흔히 일어나지 않는 상황에 더욱 유용하다. 지진이나 해일 등 대규모 자연재해는 소규모 데이터로는 분석이 어렵지만, 빅데이터는 이를 가능하게 한다. 희귀질환도 마찬가지다. 희귀질환을 앓는 환자에 대한 데이터가 쌓이면 쌓일수록 정확도는 올라간다.

데이터청이 설립된다면 빅데이터의 활용은 공공부문에 한정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민간이 데이터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터 민간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도록 데이터청을 신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재 의원 역시 민간에 데이터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출처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2&aid=00030187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