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현재

이미 식당 - 자동주문기(패스트푸드, 영화관의 키오스크)

주유소 - 셀프주유소 정착단계 느낌이고,

 

편의점 - 무인화도 테스트가 시도중이다.

 

 

지난 1월 아마존이 미국 시애틀에 무인 식료품점 '아마존고'를 개장한 이후, 세계적으로 무인 자동화 바람이 유통점에 불고 있다.

​한국에도 '아마존 고'와 비슷한 무인 편의점 '이마트24 서울조선호텔점(이하 이마트24)'이 지난해 9월 문을 열었다. 

먼저 무인 편의점에 출입하려면 신용카드 출입 단말기에 신용카드를 인증해야한다. 

 

'이마트24' 무인점포는 현재 국내에 6곳이 있다. 전주교대점, 성수백영점, 전북대의대생활관점, 서울조선호텔점, 공주교대1호점, 공주교대2호점 등이다. 이 중 24시간 무인운영을 하는 곳은 전주교대점, 공주교대1호, 2호점, 전북대의대생활관점 4곳이다.

일단은 고객대상이 한정될수잇는 장소에 테스트

 

“무인편의점은 일반편의점보다 평균적으로 매출이 20%가 빠진다”며

“일반 편의점에서 담배랑 주류가 매출의 60% 정도를 차지????  설마

 

 담배와 주류가 없는 무인편의점은 일반 편의점과 매출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이어 “무인점포는 유인점포와 다르게 가야 한다”며 “이마트24는 앞으로 점포 입지에 따라 수요가 높은 상품들 위주로 무인점포 상품을 구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참고로, 직원이없는 새벽 시간대에는 술·담배를 팔지 않는다.

 

 일단 현재는 “한국형 무인점포는 개인정보 취급 문제가 있어

‘아마존 고’와 같이 운영하기는 힘들다”고 설명했다

 

 

BGF리테일의 CU와 GS리테일의 GS25는 각각 비대면 결제 시스템(CU바이셀프), ICT 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O2O(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 강화결제 간편화(GS25)등을 시도하며 무인점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형마트 중에선 이마트가 이달 중 무인 계산대인 '셀프 체크 아웃' 시스템을 부분 도입할 예정이다. 홈플러스와 롯데마트는 이미 무인계산대를 부분 도입, 운영 중이다.

 

출처: <http://news.tf.co.kr/read/economy/1713512.htm>

출처: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403100223&lo=zv44>






MS오피스 ms office 파워포인트 ppt 용량줄이기 팁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25MB -> 7MB로 줄어듬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인프라(서버, 스토리지) 지원(임대)

HaaS(Hardware as a Service)

직접 관리 범위  가장 넓음

PaaS(Platform as a Service)

MS azure WebApp 같은 느낌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해서 어플리케이션 포팅

SW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플랫폼 제공 서비스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 수준으로 바로 사용

네이버메일, G메일, 구글클라우드 같이

 






'기술(Azure 만...) > [MS]Az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구독의 소유권을 다른 계정으로 양도  (0) 2019.01.15
Azure RBAC  (0) 2019.01.15
azure 관리그룹(management groups)  (0) 2019.01.15
Azure Cognitive service 비젼관련 실습  (0) 2019.01.01
Event Hubs 실습  (0) 2019.01.01

1. 갑자기 한영키 전환이 안될때(이상하게 win10에서 많이 경험하게됨)


시작-실행 후 ctfmon 입력 후 엔터 누름 끝.


참고로 키보드 한영키 전환시 사용하는 프로그램 이름이 cftmon.exe


프로그램 충돌 때문에 가끔 키보드 한영키 전환이 안되는 경우가 있음 




web deploy 이용 IIS 서버 간 마이그레이션 각


작업시 오타주의필요



1. Source Server에  Web Deploy 3.6 설치

https://www.iis.net/downloads/microsoft/web-deploy 


2. Appcmd 명령어 이용 Site 및 pool xml export


%windir%\system32\inetsrv\appcmd list apppool /config /xml > c:\apppools.xml

%windir%\system32\inetsrv\appcmd list site /config /xml > c:\sites.xml


3. Xml열어서 확인

4. Appcmd 명령어 이용 Site 및 pool xml import

%windir%\system32\inetsrv\appcmd add apppool /in < c:\temp\web\apppools.xml

%windir%\system32\inetsrv\appcmd add site /in < c:\temp\web\sites.xml


5. Msdeploy export(각 사이트별)

msdeploy -verb:getDependencies -source:metakey=lm/w3svc/1

msdeploy -verb:getDependencies -source:metakey=lm/w3svc/2

msdeploy -verb:getDependencies -source:metakey=lm/w3svc/3

msdeploy -verb:sync  -source:metakey=lm/w3svc/1 -dest:package=c:\Site1.zip > WebDeployPackage1.log

msdeploy -verb:sync  -source:metakey=lm/w3svc/2 -dest:package=c:\Site2.zip > WebDeployPackage2.log

msdeploy -verb:sync  -source:metakey=lm/w3svc/3 -dest:package=c:\Site3.zip > WebDeployPackage3.log

6. Target Server 파일 복사

a. 사이트 및 pool xml파일 : 사이트/pool 일괄

b. msdeploy zip파일 복사 

c. 웹사이트 실제소스 복사(경로확인)


7. Msdeploy import(각 사이트별)

msdeploy -verb:sync -source:package=C:\temp\web\Site1.zip -dest:metakey=lm/w3svc/1 -whatif > WebDeploySync1.log

msdeploy -verb:sync -source:package=C:\temp\web\Site2.zip -dest:metakey=lm/w3svc/2 -whatif > WebDeploySync2.log

msdeploy -verb:sync -source:package=C:\temp\web\Site3.zip -dest:metakey=lm/w3svc/3 -whatif > WebDeploySync3.log




트러블슈팅

오류코드 예시

Error Code: ERROR_EXCEPTION_WHILE_CREATING_OBJECT

[14:09:33][Step 6/6] More Information: Object of type 'package' and path 'Artifacts\ProjectName.csproj.zip' cannot be created.  Learn more at: 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221672#ERROR_EXCEPTION_WHILE_CREATING_OBJECT.

[14:09:33][Step 6/6] Error: The Zip package 'Artifacts\ProjectName.csproj.zip' could not be loaded.

[14:09:33][Step 6/6] Error: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Artifacts\ProjectName.csproj.zip'.

[14:09:33][Step 6/6] Error count: 1. 

-> 원인 : msdeploy export zip파일명을 잘못 지정했음.

 

 

msdeploy export  limit 존재함, 4GB 이상 이면 오류
ERROR_PACKAGE_TOO_LARGE

Diagnosis: The package or backup being created exceeds the maximum size of 4GB.

Resolution: Use the archiveDir provider when creating a package instead. Currently there is no solution for this limit with respect to automatic backups.

 

출처: <https://docs.microsoft.com/en-us/iis/publish/troubleshooting-web-deploy/web-deploy-error-codes#errorpackagetoolarge>

 

 

msdeploy -verb:sync -source:apphostconfig="Site1" -dest:archivedir=c:\archive

 

msdeploy -verb:sync -source:archivedir=c:\archive -dest:appHostConfig="Site1",computerName=NewServer

 

 

ERROR_FRAMEWORK_VERSIONS_DO_NOT_MATCH 

아래와 같이 import 닷넷프레임워크 버전을 전부 지정해주면 실행성공함.

msdeploy -verb:sync -source:apphostconfig="WebSite1",machineconfig32.netfxversion=2,machineconfig64.netfxversion=2,

rootwebconfig32.netfxversion=2,rootwebconfig64.netfxversion=2 -dest:apphostconfig="WebSite1",machineconfig32.netfxversion=2,machineconfig64.netfxversion=2,

rootwebconfig32.netfxversion=2,rootwebconfig64.netfxversion=2, 

computername=10.1.1.19 -enablelink:AppPoolExtension -verbose –whatif

 

출처: <https://blogs.msdn.microsoft.com/ericparvin/2015/04/03/error_framework_versions_do_not_match/>

 

 

 

 

그외

Troubleshooting Common Problems with Web Deploy

 

출처: <https://docs.microsoft.com/en-us/iis/publish/troubleshooting-web-deploy/troubleshooting-common-problems-with-web-deploy>





윈도우 10에서 putty 대신 ssh 앱사용이 가능하다.(cmd 앱에서 사용가능)

아래와 같이 찾아서 설치하고, 재시작 후 사용하면 된다.







2016년에 정리된 내용


구분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서비스시작

 2014년 9월

 2015년 6월?

 2015년 9월?

 2015년 기준 누적결제 건

12월 Only 1천300만건

 총 결제 건수 6천500만건

 

 가입자

12월 기준 700만명
가맹점 570여곳 

초기확보 가입자 1천 500만명
실제 월 이용자 325만명
7만개 온라인 가맹점 

 2015년 10월 기준 100만명

  

12월 기준 누적 거래액 2천억원

 최근 하루평균 10만건 결제
누적 결제액 1천억원 

   

NFC, MST(마그네틱 보안전송)

가맹점 추가단말기 없어도..
   

 NFC, MST(마그네틱 보안전송)
가맹점 추가단말기 없어도..

 

 글로벌 전략 있나?

 일본에서는 라인페이

 스마트폰 하드웨어 기반

즉, 글로벌 전략



2017년, 2018년 기준

구분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자회사 카카오페이
  

 2017년 8월말 기준 결제액

 6850억원 (증가폭은 제일 큼)

 네이버페이가 2조 1500억원



2017년 8월까지 전체 페이업체 결제액 10조 1270억 중에서

삼성페이가 5조 8360억 

 2017년 8월말 기준 가입자수

가입자수 1873만명

가입자수 2400만명가입자수 948만명
  2018.04

월 거래액 1조원 돌파 발표

 1조 1300억원

 지난해 4월 대비 900%이상 성장

 

 가입자수 천만명 돌파

  2018.04 가맹점 2500개 -> 1만 2600개  누적결제액이 18조라네
  2018.04 주요 금융사와 송금서비스 연동  
  2018.04 바코드,QR코드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출시 예정
 

금융감독원이 박찬대 의원에 제출한 '모바일 간편결제 업체별 수수료 현황'자료에 따르면 

네이버페이는 3.7%, 
카카오페이는 2.5%,
페이코 2,5~3.1%,
시럽페이 1.6~2.5%의 수수료율


2017.08말 기준 가입자수 기타 : 페이코 696만, 페이나우 460만, 시럽페이 225만




팁 까지는 아니고...100%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


혹시 자기 블로그에, 구글 애드센스를 넣어 수익을 얻으려고 하시는 분

꼭 기억하셔야 되는게 있습니다.


최초 수익 수준에 도달한 경우,

최초 1회  기존 등록해둔 주소지로 엽서가 갑니다.

해당 엽서에 PIN번호를 확인해야 됩니다.


애드센스 로그인 후 해당 PIN번호를 인증해줘야 수익금이 지급이 됩니다.


저는 그것도 모르고, 2년을 허비했네요. 20달러 소액이지만 오늘에야 알았습니다.

옛날 회사 주소지로 되어있었네요 ;;;;






'생활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주 관련  (0) 2020.03.21
국민연금 핵심 정리  (0) 2020.02.28
(재테크) 부동산 관련 정리중  (0) 2016.03.21
(재테크) 채권 관련  (0) 2016.03.21
(재테크) 주식관련 정리 진행중  (0) 2016.03.21

일단 10여년 회사를 다녀본 결과,

연봉올리는건, 이직이 정답임


절대 회사입장에서, 가만히 있는 직원을 챙겨주지 않음.

절대 팀장,본부장,임원은 절대 챙겨주지 않음.(자기먹기 살기 바쁨)

단, 어필하는 직원을 챙겨줌.

특히 퇴사한다 하면 좀 챙겨주려고함.


암튼. 이직 시 연봉협상 등 챙겨야 되는 항목


 1

월 급여는 1/12인지 1/13인지 1/14인지   , 이건 기본이라도 물어봐야됨.

 2

기본급 연봉이 맞는지, 아니면 책정연봉이 기본급 + 고정수당으로 구성된 것인지

 3

연봉에 식대나 수당이 포함된 것인지

 4

연봉에 퇴직금은 별도가 확실한지, 퇴직금 대신 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하는 것인지

 5

각종 복리후생, 지원항목 메일로 받을

 6직급 몇년차로 인정을 해주는지도 분명히 물어볼것.(흐지부지 하면, 후려치기 당함)
나중에 후회막급 

계속 수집중




윈도우 명령어 - 탐색기에서 cmd 빨리 열기

 

 

탐색기에서 cmd 입력하면 cmd가 바로 뜸

100명 중에 99명은 안해봤을 듯함. ㅎㅎㅎ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