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이 정리해봤지만,


1. 그냥 그대로 있자.... 수요가 정말 그렇게 많이 있냐? 증가하느냐??


2. 군 공항을 이전해버리면 안됩니까? 김해공항은  더 넓혀서 쓰고


쓸데없는 세금을 또 퍼부어서, 제 2의 무안공항, 양양공항 나올 것 같은데

나중에 문제되어도 옷벗을 공무원들이 있을까요????




구분

 밀양

부산2 가덕도

 24시간 운영가능

 X

 토지매입금액

조사 필요 신규로 해야됨?? 

바다를 메우는 비용 

 부동산 투기우려

 벌써부터 오르고 있다고 함?

제한적임 위치관계상 

 이용객수 비율

 

높음 

부산, 김해, 양산, 가까운 창원

산지여부 

찾아봐야겠음 평지가 있다고는 하나 산이 작은게 아님 밀양은 

없음 

 기존 인프라 연결성

 X

O

아래 물류관련 내용참고 

 

 

 

 

 정치논리로 나옴(새누리???)


 

 

 



동남권 신공항은 여객도 여객이지만 물류에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부산을 포함한 서부경남은 우리나라에서 서울경기 다음으로 많은 생산업체가 밀집되어 있습니다.

그 업체들의 항공화물이 모두 인천 공항을 거쳐 육송 혹은 인천공항에서 국내선으로 갈아타고 들어오고 있는 실정입니다.

어느 수단으로 갈아타던지 그만큼의 물류비는 더 발생하며 그만큼의 부담으로 적용됩니다.

 

아래글 보니 밀양이 가덕보다 해운대에서 더 가깝다고 하시네요...

 

광안대교, 북항대교,남항대교,가덕대교가 왜 만들어진줄 아시나요?

시민들 편하게 다니라고 만들어진게 아니라 물류때문에 만들어진겁니다.

장장 25년에 걸쳐(오늘기준으로 하면 30년 가까이 되겠네요) 진행되어서 만들어진 물류라인입니다.

 

현재 밀양으로 들어가는 고속도로는 신대구부산 민자고속도로 단 하나 입니다.

 

가덕은 위에 언급한 계획에 의해 오랜 기간동안 만들어진 물류라인이 존재합니다.

여객화물 모두 사용가능합니다.

 

이미 인프라가 완성되어 있는 지역입니다.

도로만 있을까요?

부산신항이 있는 지역입니다.

물류에 대한 인프라가 이미 구축되어 있습니다.

국내 굴지에 운송업체들이 모두 들어와 있습니다.

기업입장에서도 추가 투자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Dictation 옮김

검수 필요

   

   

The washer(washing machine) we have in a home is a huge time saver.

It really lessens the load of house work.

Keep in a home in a order is a big task. (big ask)

At the very least having a washer that's a big leg up.

However washer use to be run of the mill.

Now they are high tech machines.

The various functions sometimes confusing for me.

Given a choice I would like to washer set with just one setting.

Then laundry would be completely pool proof.

As it stand it's all to easy.

In the worst case scenario this can ruin your clothes.

Believe me it has happen before.

   

   

   

Less lessen = cut down

Given a choice

   

It was big help.

Leg up 조력, 원조, 거들어줌

유의어 head start 유리한 시작

Sce na rio

   

Given a choice

   

   




   

자바스크립트 최적화

   

1. 핵심 영역은

<head> 태그 안쪽

<body>바로 앞부분 스크립트 내용 이다.

   

즉, 정말 필수 자바스크립트는<head>안쪽에 위치

나머지는 태그의 가장 아래 부분인</body>바로 앞에 위치 시키는것이 정석.

   

2 이유는 자바스크립트 순차적으로 로드 되기 때문이다.

최초 로딩 때 필요없는 자바스크립트 로드, 파싱하는 시간을 없애고, 필요한 부분을 먼저 로드시키자는 것

문서의 로딩순서는

자바스크립트 -> .html, css 순서이기 때문

   

결국엔 총 브라우저 로딩시간은 같지만, 순서가 다르기 때문에 빠르게 뜨는 것으로 효과를 볼 수 있다.

   

   

=========================================================================

defer를 쓰면 </body> 바로 앞까지 옮겨놓을 필요가 없음

1. IE4에서 MS는defer속성을 만들어 넣음
이후로 쭉 html5까지 유지된다. 즉, 쓸모 있는 속성이라는 반증

   

Defer를 사용하게 되면

Html, css가 브라우저 렌더링이 다 된 뒤 해당 스크립트 영역이 로드 됨.

   

defer 시킨 스크립트는 문서의 파셔(parse) 종료 후에 실행되는 스크립트 목록에 들어가게 된다.

한마디로 </body> 바로 앞에 스크립트를 넣었던 효과(동작)이 일어남
단, 실제 스크립트 위치는 상관없어짐.

   

===========================================================================

Html5부터 async 출현

   

Async의 의미는 기존 브라우저 로딩과 관계없이 가능한 빨리 실행(로딩)시켜라는 부분 즉 비동기화

단, CPU자원을 많이 쓴다.

종속성이 없는 코드에만 사용한다.

예를 들어, 구글 애드센스 js파일 같은데는 사용 가능

Jquery.min.js도 종속성이 없는 파일?

Async는 막상 쓸 데가 안떠오름.

   

   

   




+ Recent posts